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30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305개 세 글자:939개 네 글자:1,175개 다섯 글자:603개 여섯 글자 이상:758개 모든 글자:3,781개

  • : (1)산속에 있는 집. (2)중국 송나라 때 있었던 천태종의 한 파(派). 의적(義寂)을 창시자로 하며, 천태종의 정통을 이어받았다. (3)산증(疝症)의 하나. 아랫배가 화끈거리면서 아프고 요도로 흰 점액이 나온다. (4)아이를 낳은 집. (5)‘출산 휴가’를 줄여 이르는 말. (6)유지(油脂)나 지방 1그램 속에 들어 있는 유리된 지방산을 중화하는 데에 필요한 수산화 칼륨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수. 오래 저장하였거나 썩은 경우에는 산화에 의해 생긴 지방산이 많으므로 산가가 크고 색, 맛, 냄새 따위가 다르다. 유지류의 품질을 보고 식별하는 데에 쓴다. (7)중국 중남부에서 즉흥적으로 불리던 단시형의 민요. (8)명나라 말에 풍몽룡이 쑤저우(蘇州)의 유행 가요를 모아 편찬한 책.
  • : (1)산의 봉우리. (2)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3)산속에 있는 누각.
  • : (1)산과 산 사이에 산골짜기가 많은 곳.
  • : (1)광산에서 일하는 인부나 상황을 감독하는 사람. (2)일제 강점기에, 산림을 지키고 관리하던 공무원. (3)깎아서 줄임. (4)‘고욤’의 방언
  • : (1)산기슭의 쑥 내민 귀퉁이.
  • : (1)물건을 사는 데에 치르는 값. (2)유지(油脂)나 지방 1그램 속에 들어 있는 유리된 지방산을 중화하는 데에 필요한 수산화 칼륨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수. 오래 저장하였거나 썩은 경우에는 산화에 의해 생긴 지방산이 많으므로 산가가 크고 색, 맛, 냄새 따위가 다르다. 유지류의 품질 감별에 쓴다.
  • : (1)산에 절로 나서 자라는 갓. (2)나무를 함부로 베지 못하게 가꾸는 산. ⇒규범 표기는 ‘멧갓’이다. (3)산과 숲, 또는 산에 있는 숲. ⇒규범 표기는 ‘산림’이다. (4)‘산기슭’의 방언 (5)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 ⇒규범 표기는 ‘산림’이다.
  • : (1)‘서리’의 방언 (2)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과 들, 언덕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3)삽주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한데,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
  • : (1)심마니들의 은어로, ‘호랑이’를 이르는 말. (2)잘못된 글귀를 지우고 고쳐서 바로잡음. (3)불좌 또는 높은 좌대를 덮는 장식품. 나무나 쇠붙이로 만들어 법회 때 법사의 위를 덮는다. 원래는 인도에서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하여 쓰던 우산 같은 것이었다. (4)여럿으로 흩어져 벌림. (5)밀집된 군대나 병력을 적당한 간격으로 넓게 벌리거나 해산하는 일. (6)어떤 단어가 처음 사용된 맥락에서 분리되어 다양하고 새로운 의미 작용을 형성해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데리다가 사용하였다.
  • : (1)예전에, 세상을 등지고 산속에 들어가 살던 사람을 이르던 말. (2)운동이나 놀이를 목적으로 산에 오르는 사람. (3)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다. 5월에 분홍색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 (1)산속에서 삶. (2)필요 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워 버림.
  • : (1)여기저기에 보임.
  • : (1)산에 나 있는 길. (2)산의 경치. (3)예전에, 수학책을 이르던 말. (4)중국의 고전 수학서 10종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주비산경(周髀算經)≫, ≪구장산술(九章算術)≫, ≪손자산경(孫子算經)≫, ≪해도산경(海島算經)≫, ≪오조산경(五曹算經)≫, ≪하후양산경(夏侯陽算經)≫, ≪장구건산경(張邱建算經)≫, ≪오경산술(五經算術)≫, ≪집고산경(緝古算經)≫, ≪철술(綴術)≫이다.
  • : (1)대륙적 규모에서 발달하는 최대급의 산지 계통. 대개 둘 이상의 산맥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한 계통을 이룬다. (2)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과 들, 언덕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3)삽주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한데,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 (4)꿩과의 새. 닭과 비슷한 크기인데, 알락달락한 검은 점이 많고 꼬리가 길다. 수컷은 목이 푸른색이고 그 위에 흰 줄이 있으며 암컷보다 크게 운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고 갈색에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다. 수컷은 장끼, 암컷은 까투리라 한다. 5~6월에 6~10개의 알을 낳으며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5)이름만 있고 실제로 직무는 없는 벼슬의 품계. 이에는 절충장군, 종사랑 따위가 있다. (6)‘계산’의 옛말.
  • : (1)아이를 낳는 일. (2)아이를 낳을 때에 느끼는 고통. (3)생산량이나 생산액으로 표시한 생산의 크기. (4)나라에 길례(吉禮)가 있을 때에, 예조에서 일을 맡은 벼슬아치에게 그 직책에 따라 준비를 서두르도록 미리 통고하던 일.
  • : (1)산기슭의 쑥 내민 귀퉁이. (2)산과 산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 (3)곡식을 생산함. 또는 그 곡식. (4)중국 원나라ㆍ명나라 때에 유행한 가곡. 원나라 때에 전성을 보였던 희곡인 원곡(元曲)의 가사 부분과 같은 성질을 가지며, 원래는 사(詞)에서 변형한 것으로 연회장에서 악기의 반주와 함께 불렸다. (5)흩어진 곡식의 낟알.
  • : (1)이황화 철, 산화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화 철강. 구리가 나는 곳에서 나는 푸른빛을 띤 누런색의 쇠붙이로, 어긋나거나 부러진 뼈를 이어 맞추는 데 쓴다. (2)외지고 으슥한 깊은 산속. (3)산과 산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 (4)유골 따위를 화장하여 그대로 땅에 묻거나 산이나 강, 바다 따위에 뿌리는 일.
  • : (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고 흰색의 잔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난다. 9~10월에 노란 꽃이 두상(頭狀) 화서로 핀다. 꽃은 약용 또는 식용하고 애순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산국’이다. (2)산에서 나는 과실. (3)임신과 분만을 다루는 의학 분야.
  • : (1)우뚝하게 높이 솟아 성곽같이 된 산. (2)산속에 있는 마을. (3)산중의 성곽. (4)골상학에서, 눈동자의 윗부분 반쪽을 이르는 말. (5)아이를 낳은 사람이 먹을 미역.
  • : (1)산속의 숙소나 건물. (2)일정한 직무가 없는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 : (1)물체의 매끄럽지 않은 면이나 떠돌아다니는 미립자 따위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진 빛. 또는 흐린 하늘의 빛이나 불투명한 유리를 통과한 빛과 같이 빛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빛.
  • : (1)산줄기에서 따로 떨어져 있는 산의 덩어리.
  • : (1)산에 들어가는 첫 입구. (2)비둘깃과의 새. 암수가 비슷하며, 몸은 포도색을 띤 회갈색이다. 목의 옆에는 청회색과 흑색의 무늬가 있으며, 꼬리는 흑갈색으로 끝에 회백색의 무늬가 있다. 부리는 어두운 잿빛이고 다리는 암적색이다. 눈의 홍채는 등갈색을 띤다. 정원, 산림, 나무가 있는 곳에서 흔하게 번식하며 작은 나뭇가지로 엉성하게 둥지를 만들고 2개의 알을 낳는다. 시베리아 남부, 사할린, 한국, 일본, 중국,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3)아이 낳을 때에 쓰는 여러 가지 기구.
  • : (1)산이 많은 나라. (2)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고 흰색의 잔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난다. 9~10월에 노란 꽃이 두상(頭狀) 화서로 핀다. 꽃은 약용 또는 식용 하고 애순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호랑이’를 달리 이르는 말. (2)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3)나라의 산림을 지키던 사람. (4)산골에 있는 고을. (5)봉우리가 많이 모여 있는 산의 무리.
  • : (1)산속에 있는 동굴.
  • : (1)‘산기슭’의 방언
  • : (1)‘산기슭’의 방언
  • : (1)산이 막힘.
  • : (1)십자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cm 정도이며, 경엽은 심장 모양이고 근생엽은 긴 잎자루가 있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장각과(長角果)를 맺는다. 땅속줄기는 양념 또는 약재로 쓴다. 시냇가에 나는데 한국, 사할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산줄기가 뻗어 나가기 시작한 곳. (2)골상학에서, 콧마루와 두 눈썹 사이를 이르는 말. (3)무기산이나 유기산의 분자에서 금속 원자와 치환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뺀 나머지의 원자나 원자단. 질산의 -NO3, 황산의 -SO4, 아세트산의 CH3COO- 따위가 있다.
  • : (1)암석 가운데 석영맥(石英脈)에서 나는 천연의 금. 약간의 은을 함유하며, 팔면체의 결정이 많고, 누런색 또는 누런 흰색을 띤다. 산출량의 40%가 남아프리카에서 난다. (2)산에서 사는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뻐꾸기, 부엉이, 꾀꼬리, 딱따구리 따위가 있다. (3)금을 생산함.
  • : (1)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2)산속 특유의 찬 공기나 산에 끼는 아지랑이. (3)씩씩하고 뛰어난 산의 기세. (4)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 아랫배가 땅기며 통증이 있고 소변과 대변이 막히기도 한다. (5)달이 찬 임신부가 아이를 낳으려는 기미. (6)아이를 낳을 시기. (7)고려 시대ㆍ조선 전기에, 문하부에 속한 벼슬. (8)중국에서 말을 타고 천자를 경호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진(秦)나라 때 처음 두어 진(晉)나라 때에는 산기청(散騎廳)까지 두었으나, 당나라 때에는 명목만의 벼슬이 되었다. (9)신맛이나 신 냄새. (10)화합물 따위의 산성. (11)무기산이나 유기산의 분자에서 금속 원자와 치환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뺀 나머지의 원자나 원자단. 질산의 -NO3, 황산의 -SO4, 아세트산의 CH3COO- 따위가 있다. (12)일본에서, 다이조칸의 차관 벼슬 가운데 하나. 율령제에 규정되지 않은 영외관(令外官)으로, 다이나곤과 주나곤의 다음 지위이다.
  • : (1)한 질을 이루는 여러 권의 책 중에서 빠진 권이 있음. 또는 그런 책. ⇒규범 표기는 ‘낙질’이다. (2)산에 나 있는 길.
  • : (1)‘생견’의 옛말.
  • : (1)살아 있는 화초에서 꺾은 진짜 꽃. (2)산에 피는 꽃.
  • : (1)등산을 즐겨 하거나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 : (1)산에 사는 벌이 친 꿀.
  • : (1)산의 등줄기. ⇒규범 표기는 ‘산등성이’이다. (2)‘산등성이’의 북한어.
  • : (1)산의 양지. 곧 산의 남쪽 편.
  • : (1)산승(山僧)의 옷. (2)산속의 절에 사는 승려.
  • : (1)산의 속. (2)산에 있는 절의 경계 안.
  • : (1)산에 있는 밭에서 짓는 농사.
  • : (1)제례(祭禮) 때에 현주(玄酒)나 앙제를 담는 데에 쓰던 단지. 구름 낀 모양의 멧부리와 뇌문(雷文)을 표면에 새겨 넣었다.
  • : (1)요(尿)에 특정한 산이 비정상적인 양으로 존재하여 배출되는 상태.
  • : (1)차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약 7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4월쯤 붉은색 또는 흰색의 큰 꽃이 가지 끝마다 아름답게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늦가을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거나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 등잔 기름 따위로 쓰고 목재는 공예의 재료로 사용한다. 따뜻한 지방의 해안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8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선 모양이다. 6~7월에 1~5개의 짙은 붉은색 꽃이 포 위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비늘줄기는 식용 또는 약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2)무엇을 풀기 위한 수단과 방법. 또는 그런 것을 찾아내는 궁리.
  • : (1)산이 있는 곳. (2)아이를 낳을 달. (3)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4)족제빗과의 하나. 몸은 45~50cm, 꼬리는 20cm 정도이다. 족제비보다 약간 크고 누런 갈색이나 겨울에는 담색으로 변한다. 모피의 질이 좋다. 밤에 활동하며 작은 새, 들쥐, 개구리, 과실 따위를 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꿩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25cm 정도로 수컷은 머리의 관모, 등 쪽, 꽁지가 순백색이다. 얼굴의 드러난 부분은 짙은 홍색, 나머지는 주로 검은 자주색, 날갯죽지 부근은 붉은색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이고 ‘V’ 자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대만 특산종으로 1,000미터 이상의 높은 산의 숲속에 산다.
  • : (1)‘사성’의 방언
  • : (1)한 사람의 소유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논.
  • : (1)산신을 모신 집. (2)조선 시대에, 서인의 한 분파. 인조 말년에 김상헌을 중심으로 하였던 청서(淸西)가 두 갈래로 나뉘어 생긴 것으로, 효종 때 송시열이 이 파의 우두머리로서 세력을 떨쳤다.
  • : (1)고기 잡는 그물의 하나. 대나무나 쇠로 만든 틀에 삼각형 또는 원형(圓形)의 그물을 주머니처럼 붙였다. (2)볏과의 여러해살이 식물. 높이는 1~2미터이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이다. 자주색의 작은 꽃이 복총상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영과(穎果)로 가을에 익는다. 줄기는 조리를 만드는 데에 쓰고 잎은 약용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3)배질을 할 때 쓰는 긴 막대. 배를 댈 때나 띄울 때, 또는 물이 얕은 곳에서 배를 밀어 나갈 때 쓴다. ⇒규범 표기는 ‘상앗대’이다. (4)예전에,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대나무나 뼈 따위를 젓가락처럼 만들어 가로세로로 벌여 놓고 셈을 하였는데, 일ㆍ백ㆍ만 단위는 세로로 놓고, 십ㆍ천 및 지금의 십만에 해당하는 억 단위는 가로로 놓았다. ⇒규범 표기는 ‘산가지’이다. (5)‘산가지’의 북한어. (6)산대놀음 따위와 같은 민속놀이를 하기 위하여 큰길가나 빈터에 마련한 임시 무대. (7)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8)퍼져서 커다랗게 됨. (9)죽을 때가 되어 눈동자가 열리는 일. (10)마늘의 꽃줄기. 연한 것은 쪄 먹거나 장아찌로 만들어 먹는다. (11)밤 중에서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재래 품종의 하나. 숙기는 9월 중하순이며 무게는 약 15그램 정도이고 당도가 17도로 꽤 높은 편이다. 풍산성이며 내한성이 강하고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편이다.
  • : (1)‘사돈댁’의 방언
  • : (1)산에 있는 더기. (2)‘사돈댁’의 방언
  • : (1)‘산전’의 옛말.
  • : (1)소귀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10~20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두껍다. 암수딴그루로 4월에 누런빛을 띤 붉은색 꽃이 피고 열매는 구형의 핵과(核果)로 6~7월에 열린다. 열매는 식용하고 껍질은 물감으로 쓴다. 한국의 제주도,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2)산에 나 있는 길. (3)묏자리를 표시한 그림. (4)밭에 심어 기르는 벼. 볍씨를 뿌려 가꾸는데 알이 굵고 잘 여문다. (5)중국 진(晉)나라의 학자ㆍ정치가(205~283). 자는 거원(巨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다. (6)아이를 낳을 때 태아가 지나는 통로. 자궁목과 질이 있다. (7)집짐승이 새끼를 낳을 때 새끼가 지나는 길. ‘새끼길’로 다듬음. (8)한 분자의 염기에서 이온화할 수 있는 수산기의 수. 이 수에 따라 일산염기, 이산염기, 삼산염기 따위로 나뉜다. (9)산성의 세기를 나타내는 정도.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로 나타낸다.
  • : (1)‘부싯돌’의 방언 (2)독이 있는 해로운 물질을 뿌림.
  • : (1)노름판 따위에서 산가지 대신 쓰는 돈.
  • : (1)맷돌을 만드는 데 쓰는, 푸르스름한 회색을 띤 광석. 바닥이 닳았을 때 축축한 땅에 놓아두면 저절로 우툴두툴하게 된다. 차돌처럼 부싯돌로도 쓴다. (2)‘산돼지’의 방언 (3)‘부싯돌’의 방언
  • : (1)‘산돼지’의 방언
  • : (1)산속에 있는 마을. (2)산의 동굴. (3)두메에서 자란 아이. (4)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는 동공 확대근의 작용에 의하여 동공이 지름 4mm 이상으로 커지는 일. 정상적인 눈에서는 암전(暗轉)이나 놀람, 아픔 따위의 자극으로 일어나고, 병적으로는 녹내장 따위에서 일어난다.
  • : (1)‘산돼지’의 방언
  • : (1)‘산도’의 방언 (2)산대놀음 따위와 같은 민속놀이를 하기 위하여 큰길가나 빈터에 마련한 임시 무대. ⇒규범 표기는 ‘산대’이다. (3)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4)산의 맨 위. (5)중국 광둥성 동북부 한장강 하구에 있는 항구 도시. 농산 가공물, 주석제(朱錫製) 기구, 레이스 따위를 수출한다. ⇒규범 표기는 ‘산터우’이다. (6)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규범 표기는 ‘산대’이다.
  • : (1)중국 허난성 서쪽의 야오산(崤山), 한구관 동쪽의 땅. 전국 시대 제, 초, 연, 한(韓), 위, 조의 여섯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이름이다.
  • : (1)‘산도’의 방언
  • : (1)갑자기 사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2)갑자기 놀라서 마음에 사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 : (1)사늘한 바람이 가볍고 보드랍게 부는 모양.
  • : (1)‘산듯하다’의 어근. (2)동작이 조금 빠르고 시원스러운 모양.
  • : (1)산의 등줄기.
  • : (1)‘산대’의 변한말. (2)‘산도’의 방언
  • : (1)‘산딸기’의 방언
  • : (1)배탈이 나서 먹은 것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나오는 똥.
  • : (1)갑자기 사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산득’보다 센 느낌을 준다. (2)갑자기 놀라서 마음에 사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산득’보다 센 느낌을 준다.
  • : (1)동작이 빠르고 시원스러운 모양. (2)기분이나 느낌이 깨끗하고 시원한 모양. (3)보기에 시원스럽고 말쑥한 모양.
  • : (1)산꼭대기나 산 중턱에서 땔나무 단을 아래로 굴리는 일. (2)흩어져 떨어짐.
  • : (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70~90cm이고 온몸에 털이 있으며, 큰 잎이 마주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흰색이나 자주색의 두상화가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으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알을 낳음. (3)파동이나 입자선이 물체와 충돌하여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 충돌 전후에 운동 에너지의 변화가 없는 탄성 산란과 변화가 있는 비탄성 산란이 있다. (4)‘산란하다’의 어근.
  • : (1)고려 시대에, 선부ㆍ총부ㆍ민부ㆍ언부(讞部)에 둔 정오품 벼슬. 충렬왕 34년(1308)에 원외랑(員外郞)을 고친 것으로, 공민왕 5년(1356)에 다시 원외랑으로 고쳤다. (2)고려 시대에, 육부에 둔 벼슬. 공민왕 18년(1369)에 좌랑(佐郞)을 고친 것이다.
  • : (1)문구(文句) 따위를 삭제함. (2)안부의 말을 줄이고 용건만 쓴다는 뜻으로 쪽지 따위에 쓰는 말.
  • : (1)산골짜기 사이에 놓인 다리. (2)‘꿩’을 달리 이르는 말. (3)일정한 기간 동안 재화가 생산되는 수량.
  • : (1)책력과 산술에 관한 학문.
  • : (1)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 (2)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 : (1)산에 나 있는 길. (2)단조품을 만드는 대장간. (3)아이를 낳을 때에 느끼는 고통.
  • : (1)숲이 우거진 산이 띤 푸른빛. (2)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3)일정한 형식이나 체계 없이 느끼거나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는 일. 또는 그 글. 대체로 글 속에 사물에 대한 필자의 풍자나 비판이 들어 있다.
  • : (1)산바람이 나뭇가지나 숲을 스치며 부는 소리.
  • : (1)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에게 다달이 주던 녹봉. 본디 분기마다 주는 벼슬아치의 봉급을 매달에 나누어서 주었다.
  • : (1)산의 비탈진 골짜기를 급하게 흐르는 내. (2)하천의 상류와 중류를 이르는 말. 하천의 상류부나 중류부가 대개 산지를 흐르는 데서 나온 말이다. (3)분만 때 태아가 좁은 산도를 통과하면서 받은 압박으로 태아의 신체 일부분이 혹처럼 부어오른 것. 보통 자색으로 머리나 얼굴에 주로 많이 생기며, 분만 직후 2~3일 이내에 자연히 없어진다. (4)산(酸)의 성질을 지닌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황산, 질산, 염산 따위가 있다.
  • : (1)무거운 물건을 옮길 때, 힘을 덜 들게 하기 위하여 그 밑에 깔고 굴리는 둥근 나무토막.
  • : (1)산과 언덕을 통틀어 이르는 말. (2)국장(國葬)을 하기 전에 아직 이름을 정하지 않은 새 능. (3)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의 줄기.
  • : (1)산속에 있는 마을. (2)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봄에 흰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이과(梨果)로 가을에 누렇게 익는다. 목재로 많이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3)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흰 꽃이 방상(房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노란색으로 익는데 식용하고 나무는 도구재로 쓴다. 한국, 일본,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4)풍수지리에서, 묏자리의 뒷산에서 내려온 산줄기, 방향, 위치에 따라 재앙과 복이 달라진다는 이치. (5)일정한 직무가 없는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 : (1)산과 숲, 또는 산에 있는 숲. (2)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 (3)절에서 일정한 기간을 정해 놓고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서 불법을 공부하는 모임. 법화 산림, 화엄 산림, 정토 산림, 미타 산림 따위가 있다. (4)일제 강점기에, 산과 숲을 지키고 관리하던 공무원.
  • : (1)입제로 된 농약 등을 뿌리는 일.
  • : (1)산속에 있는 도깨비.
  • : (1)사냥꾼이나 숯쟁이 및 약초를 캐는 사람이 임시로 쓰려고 산속에 간단히 지은 집. (2)산지에 있는 숙박 및 휴게 시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3)부정(不淨)을 막기 위하여 임산부의 해산에 임하여 따로 세우는 오두막. (4)두족류 특히, 문어류에서 잘 발달되어 있는 팔과 팔 사이에 있는 막상 구조물.
  • : (1)편지에서, 인사는 생략하고 바로 할 말을 적겠다는 뜻으로 첫머리에 쓰는 말. (2)‘산만하다’의 어근.
  • : (1)실감 나도록 꼭 알맞게 표현한 말. (2)‘참산말’의 전 용어.
  • : (1)‘산마루’의 방언
  • : (1)하는 짓이 까불까불하고 좀스러움. (2)흩어져 없어짐.
  • : (1)수릿과의 새. 몸의 길이는 28~38cm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훨씬 크다. 등은 회색, 아랫면은 흰색이고 온몸에 어두운 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수컷을 ‘난추니’, 암컷을 ‘익더귀’라 하고 길들여 작은 새 따위를 잡는 데 쓴다. 텃새 또는 떠돌이새로 숲속과 숲 부근의 개활지에서 단독으로 사는데 북위 30도에서 북극권까지 분포ㆍ번식한다. 북부 지역에 번식하는 집단은 겨울에 남하하여 겨울을 보내고 남부 지역에서 번식하는 집단은 정주한다. 천연기념물 제323-4호. ⇒규범 표기는 ‘새매’이다. (2)요사스러운 산 귀신. (3)물건을 생산자나 도매상에서 사들여 소비자에게 직접 파는 일.
  • : (1)산봉우리가 선상(線狀)이나 대상(帶狀)으로 길게 연속되어 있는 지형. 세계의 대산맥은 대지나 고원과는 달리 특정 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2)맥상(脈象)의 하나. 맥이 흩어져 가볍게 짚으면 분산되어 산란한 느낌이 있고 세게 짚으면 느껴지지 않는 맥으로, 병이 몹시 위중할 때 나타난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산으로 끝나는 단어 (3,728개) : 비페닐아세트산, 약정 체결 자산, 겐티아나 중조산, 시클로헵타코산, 역발산, 흑자 도산, 폴리인산, 청계산, 요오드아세트산, 아비산, 지각 출산, 무수 아류산, 일항 연산, 빼내기 연산, 두륜산, 고유 재산, 순액예산, 질산식류산, 소수성 아미노산, 평균 생산, 이성산, 소로트 생산, 사료용 인산, 지달산, 세공 확산, 기장 연산, 계렬생산, 소각 자산, 무고작산, 기본 행 연산 ...
산으로 끝나는 단어는 3,7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산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30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